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수마노탑이 있는 정선 정암사

정선 정암사 정보

정암사-수마노탑
정암사(淨巖寺)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인 자장(594-599~653-655)이 지은 사찰이다. 정암사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자장에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자장은 당나라의 불교를 배우는 과정에서 산시성과 오대산에 이르러 문수보살을 직접 만나는 신비한 종교 체험을 하게 된다. 이때 부처님의 유골인 사리와 승려의 법의인 가사 등의 성물을 받는다. 이후 선덕여왕의 요청으로 신라로 귀국하여 황룡사구층목탑과 통도사, 태화사 등을 지었다. 그리고 고구려의 침략 위협으로 소란스럽던 동북방을 안정시키기 위해 평창 오대산을 새로 세우고 현재 함백산으로 불리는 태백산에 석남원을 지었다. 석남원은 '신령한 바위의 남쪽' 이라는 의미로 현재 수마노탑이 위치한 바위를 기점으로 하는 사찰이라는 뜻이다. 현재의 정암사, 즉 '깨끗한 바위' 라는 의미가 여기서 유래된것이다. 자장은 정암사에서 문수보살과의 만남을 기다리다 입적한다. 이로 인해 정암사 뒤편에는 자장의 유해를 모신 바위굴과 조사전이 세워졌다. '정암사사적기' 에는 바위굴이 때때로 빛이 뿜어져 나오는 신령한 곳임이 기록되어 있다. 정암사는 자장의 계율 정신을 계승해 고려시대까지 계율을 연구하는 전통이 유지된다. 또한 자장이 모신 부처님 사리와 수마노탑 건립에 의해서 오늘날까지 오대산 중대와 통도사, 법흥사와 더불어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최고의 기도처이자 성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안 위도 대월습곡과 망월봉

부안 위도 대월습곡과 망월봉 정보

부안-위도-망월봉-대월습곡

1. 위도(蝟島)

위도의 명칭은 고슴도치를 뜻하는 '위(蝟)'와 섬을 뜻하는 '도(島)'에서 비롯되었다. 본래 사용하던 '위(猬)'가 조선후기에 '위(蝟) 자로 바뀌어 정착이 되었는데, 이 두 한자는 모두 고슴도치를 나타낸다. 위도 주민들은 위도의 전체적인 모습이 고슴도치와 흡사하다고 믿으며, 마을 명칭 역시 고슴도치 신체 부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고슴도치 머리 부위에 해당되는 곳이 위도의 관문인 파장금이고, 파장금 앞에 위치한 섬 식도(食島)를 고슴도치의 먹이로 생각하여, 위도 주민들은 식도를 '밥섬'이라 부르게 되었다. 오래전부터 위도라는 섬의 명칭에 고슴도치가 등장하게 된 것은, 섬의 전체적인 모습이 고슴도치를 닮았기 때문이다. 송나라의 문신인 서긍이 남긴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섬섬(고슴도치털섬)이라는 섬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곳이 오늘날의 위도이다.

2.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大月褶曲, 천연기념물)

다양한 주향을 보이는 정단층과 역단층이 모두 관찰되는 특징, 이암과 사암의 경계에서 관찰되는 연질퇴적변형구조,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된 퇴적시기 (백악기, 8천7백만 년 전 – 8천6백만 년 전), 습곡층 상, 하부에 나타나는 비변형 퇴적층 등은 위도 진리 대월습곡이 광역압축응력에 의해 형성된 습곡이 아님을 지시한다. 퇴적 이후, 퇴적층 내에서 사태(slumping)가 발생하게 되면 사태 퇴적층(slump deposits)의 말단부에서는 습곡 및 역단층이 발달하게 되며, 이 경우 층의 내부에는 연질퇴적변형구조가 관찰되고, 사태 퇴적층 상, 하부의 지층은 변형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위도 진리 대월습곡의 특징과 동일하며, 이는 위도 진리 대월습곡이 층 내 사태에 의해 형성된 습곡구조임을 지시한다. 중생대벌금리층의파식대지의해안절벽에위치하고,수십m높이로규모가대단히크며,이러한대규모습곡은국내에서는드물게관찰되며경관또한매우우수하다.

3. 위도 망월봉(望月峰)

위도에서 가장 높은 254m의 망월산에서 둥근달이 떠오르는 모습을 가리킨 것이며 둥근달이 산봉우리를 벗어나면서 바다에 비춰지는 달은 한 폭의 그림을 보는듯한 아름다운 장관의 극치이다.

운탄고도 5길 : 화절령 ~ 도롱이연못 ~ 하이원CC 갈림길 ~ 만항재주차장

운탄고도 5길 정보

운탄고도-5길
화절령에서 만항재 소공원까지 이어진 높고 아득한 산길. 산중턱 도롱이연못에 얽힌 이야기는 모든 이의 마음을 짠하게 만든다. 광부를 남편으로 둔 아내들의 애타는 마음이 담겨 있는 곳이 도롱이연못이라면 뒤이어 마주치게 되는 1177갱은 광부들이 캄캄한 막장으로 들어가는 갱도의 입구였다. 이 길은 광부와 광부 아내의 높고 애틋한 사랑의 길이다.

완도 조약도 삼문산, 생일도 백운산, 신지도 상산 산행

조약도 삼문산, 생일도 백운산, 신지도 상산 정보

조약도-생일도-신지도

1. 조약도 삼문산

아름다운 다도해를 조망할 수 있는 명산 삼문산은 남쪽으로는 신지도, 혈도, 모황도가 수석처럼 보이고 맑은 날이면 청산도 뒤로 추자도와 제주도까지 조망할 수 있다. 삼문산(해발 397m)은 비교적 해발이 낮지만 결코 만만치 않은 산이다. 4월이면 진달래가 지천으로 피고 정상(망봉)에는 봉화대가 있었던 자리가 남아있으며, 죽선리에서 정상인 망봉으로 오르는 길은 북쪽으로는 천관산이 손에 다을 듯 보이고 남쪽으로는 다도해가 한눈에 들어와 떠 있는 느낌을 받은 코스이며 죽선리에서 300미터쯤 오르다보면 바위사이에서 나오는 신설골 약수터가 있어 목을 축일 수 도 있다. 

2. 생일도 백운산

생일도는 해발 483m의 백운산과 금곡해수욕장을 낀 동백숲이 있으며, 남쪽에는 용출리 갯돌밭이 장관을 이루는 섬이다. 생일도란 지명은 처음에는 산밀도, 산윤도라 불리다가 주민들의 본성이 착하고 어질어 갓 태어난 아기와 같다하여 날 생(生)과 날 일(日)자를 붙여 생일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의 유래는 예로부터 험한 바다에서 조난 사고와 해적들 횡포가 심해 이름을 새로 짓고 새로 태어나라는 뜻에서 생일도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다. 백운산은 생일도 중앙에 우뚝 솟은 산으로 산이 높고 바다 경치가 수려하며 정상에 서면 맑은 날엔 남쪽 멀리 제주도까지 바라보일 만큼 조망이 뛰어나다

3. 신지도 상산

신지도(완도군 신지면)의 서쪽 송곡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325m). 두 개의 섬이 연육되어 형성된 신지도의 서측 섬의 주봉을 이룬다 「조선지지자료」 에 송곡(松谷)에 소재한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산의 남측 사면에 영주암이 묘사되어 있다. 산록의 북측 해안 말단부에 송곡 마을이 있다. 지명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와 계곡이 많아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1596년(선조 29)에 진(鎭)을 설치하였고, 만호영이 있었다. 17세기에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신지도 상산과 명사십리해수욕장 정보

신지도-상산-명사십리해수욕장

1. 신지도 상산

신지도(완도군 신지면)의 서쪽 송곡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325m). 두 개의 섬이 연육되어 형성된 신지도의 서측 섬의 주봉을 이룬다 「조선지지자료」 에 송곡(松谷)에 소재한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산의 남측 사면에 영주암이 묘사되어 있다. 산록의 북측 해안 말단부에 송곡 마을이 있다. 지명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와 계곡이 많아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1596년(선조 29)에 진(鎭)을 설치하였고, 만호영이 있었다. 17세기에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2. 신지명사십리(薪智鳴沙十里)해수욕장

신지도(완도군 신지면)의 서쪽 송곡리 일대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325m). 두 개의 섬이 연육되어 형성된 신지도의 서측 섬의 주봉을 이룬다 「조선지지자료」 에 송곡(松谷)에 소재한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지형도」에는 산의 남측 사면에 영주암이 묘사되어 있다. 산록의 북측 해안 말단부에 송곡 마을이 있다. 지명은 마을 주위에 소나무와 계곡이 많아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1596년(선조 29)에 진(鎭)을 설치하였고, 만호영이 있었다. 17세기에 김해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